2020년 후잉가계부 총결산 with 2019년과 비교
분기별로 반기별로 못했는데
부족하나마 한해 정리라도 해보면 어떨까 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2020년 생활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그전이랑 어떻게 달라졌는지 궁금하기도 했네요
총금액,월평균금액,최대,최소금액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생활관련총 비용


2020년
총금액은 약 2700만원
월평균금액은 약 230만원
월최소금액은 1,070,650원(2020년 2월)
월최대금액은 6,299,068(2020년 11월)


참고로 2019년은
총금액은 약 1700만원
월평균금액은 약 145만원
월최소금액은 1,064,582원(2019년 6월)
월최대금액은 2,261,292(2019년 2월)
분석 및 계획)
2019년도에는 한달에 100만원대를 썼었는데 2020년도 200만원이 거의 넘었고 특히 이사이후로는 씀씀이가 커졌네요
월평균금액으로보면 거의 100만원 늘었는데 어쩌다 이렇게 된것인지ㅠㅠ
이사를 4월에 했는데 만약에 1월에 했으면 장난 아니였을듯 하기도 하네요
투자손실관련
월최대손실 2,049,669원(2020년 11월)
2)고정비용관련
2020년 추이

급격히 증가한것이 주거 공과금등 건강보험료입니다
9월달 일시적으로 줄어든 내용은 빠져나가지 않아서 입니다
11월 그만큼 많이 증가했으며 12월부터는 새로운 건강보험료가 적용되어서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개인보험료도 치아보험 가입하면서 증가했네요~
2019년 추이

초록색이 급격히 증가한것이 통신비입니다
갤럭시 S10 플러스를 구입하여서 통신사를 통해서 개통하다보니까 그렇게 되었네요~
2019년과 2020년 월 평균금액 비교
고정비용 총금액은 달라진것은 없지만 각 세부적으로 비교할 점이 생겼습니다

주거 공과금 건강보험료가 많이 증가했고
대중교통비는 전년도보다 줄어들었습니다 아마도 코로나영향도 있는것 같습니다
통신비는 기계값이 빠지면서 줄어들었습니다
개인보험료는 치아보험 때문에 증가
회사식비는 구내식당이 더 저렴해 져서 줄어든것 같네요~
이사전과 이사후에 고정비는 어떤 것이 변화되었을지 궁금해서 알아보도록 했습니다~
2019년이사전(6개월)과 2020년이사후(6개월)

고정비용으로 보면
주거,공과금,지역건강보험료는 평균 76천원->259천원(약 3.4배가 증가하였네요)
그외 금액들은 대동소이하네요~
확실히 아파트를 소유하니 관리비며 건강보험료 등등이 많이 증가했네요~
3)카드사용액

2020년
총금액은 약 1300만원
월평균금액은 약 110만원
월최소금액은 722,319원(2020년 4월)
월최대금액은 1,643,484원(2020년 6월)
참고로 2019년은
총금액은 약 780만원
월평균금액은 약 65만원
월최소금액은 428,410원(2019년 2월)
월최대금액은 918,972(2019년 8월)
분석 및 계획)
2020년도에는 한달평균 110만원 좀 넘게 카드로 썼네요
총금액 기준으로도 그렇고 월평균금액으로도 그렇게 거의 2배 증가했네요
4)담보대출이자

2020년 5월부터 내고 있는 담보대출이자입니다
원금빼고 대출이자는 얼마나 내고 있는 확인 해보았습니다
월평균 66만원정도 내는 꼴이네요
5)미국주식및 배당수익(USD)

2019년 7월 26일부터 첫 환전을 하였고
7월 31일에 첫 미국주식을 사면서
미국주식투자를 시작했습니다
2020년에는 자산배분계획도 세우면서 미국주식배당에 목표투자비율및금액이 있어서 열심히 넣었던 것 같고
그에 맞는 공부도 했던 것 같습니다
사실 2020년에도 오르지 않는자산이 없어서^^
뭐든 사면 오르는 행복한 시기였던 것도 같네요
2020년
월최소매매배당수익은 36.02달러(2020년 2월)
월최대매매배당수익은 2,149,59달러(2020년 6월)
투자금도 2020년 4월부터 넣기시작해서 2020년 12월 기준으로 2020년 3월대비 약 6배가 넘게 들어갔네요
1100원 환율로 계산하면 2020년 500백만원정도 수익을 봤네요^^
참고로 모두 세전금액으로 기록해서 연말에 매수수수료랑 항목으로 정산하였습니다~(예수금과 가계부금액과 비교하는방식)
매매배당수수료가 월마다 84달러씩 2020년에는 발생했네요
게다가 달러금액이라 바로 환전을 할수 있긴 하지만 달러로 들어만가지 원화로 환전하지는 않아서ㅎㅎ
그냥 없다고 생각하는 돈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2019년 자료입니다

많이 미미합니다~
이때는 본격적으로 하는것도 아니였고 그냥 조금씩 사보고 하면서 테스트 했던 시기입니다
6)부수입 등등

기타수입
내역을 보니까 재난지원금도 있었고 서울사랑상품권이랑 중고판매 그리고 카드이벤트등이 있었네요^^
기타수입은 운이 좋은 케이스라 올해처럼 내년도 기타수입이 풍성했으면 좋겠네요
국내주식매매배당수익
이부분은 코로나 덕분에 이사도 있고 해서 늦었지만 들어갔었고
좀 더 비중을 싣었어야 했는데 그렇지도 못했고 단기적으로만 매매해서 그런지 수익이 그렇게 좋지는 못하네요
그래도 개인적으로 그간의 실패에 대한 보답을 얻었던 한해이기도 합니다
월 최대수익 4,978,081원(2020년 4월)
물론 투자손실도 있기에^^ 그부분도 감안해야합니다~
예금이자
보통예금이자들을 합쳤고 CMA이자가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그래서 합계를 내었더니 이정도 금액이 되더라고요~ㅎ
저도 놀랬습니다~
특히나 CMA같은 경우엔 제가 한번도 기록을 안하고 돈을 출금할때기록해서
몇년치가 한꺼번에 반영되거나 잘못 반영된 부분도 있어서~ㅎㅎ
환급환불
집전화환불, 종합소득세 환급 입니다
뭔 환급환불 받을일이 많이는 없지요^^
포인트적립
올해처음으로 포인트적립(네이버페이, KB포인트리) 가계부에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수익으로 처리하면서 수익처리해서 좀 많습니다~
애드포스트광고수입
네이버 블로그로만 벌어들은 수익입니다
꾸준히 하고 있는데 올해는 열심히 안해서 일까요?ㅎㅎ
작년보다는 줄었습니다~
그래도 일상생활 글만 썼는데 이렇게 할수있다는게 고마울 따름입니다
뭐든 열심히만 하면 돈을 벌수 있는 시기인것 같네요
캐쉬백(건별카드할인도 함께)
카드이용관련 캐쉬백입니다
6월까지는 캐쉬백항목으로 입력했고 7월부터는 건별카드할인항목으로 입력해서 이렇습니다
카드를 잘 쓰고 있어서 그런지 캐쉬백금액도 생각보다는 많네요
그렇지만 카드 사용액에 비하면 새발의 피죠 ㅠㅠ
보험금환급
올해는 병원을 갈 일이 별로 없어서 실비보험으로 보험금 환급을 받을일이 없었네요^^
코로나 영향이기도 하네요~
참고로 2019년 자료입니다

2020년도꺼보다 2019년도 보니까 귀엽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