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podbbang.com/ch/7226?e=22737335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 전하는 시장 이야기
10월 11일 '검은 목요일', 10월 12일 반등.
앞으로의 시장 어떻게 전개될까?
오늘은 특별히 초대손님으로 의 저자인 Pete 황님과 함께 했습니다.
녹음일: 10월 12일
[홍춘욱 박사의 시장 보는 눈] 급락장에 대처하는 자세!
<홍춘욱 박사 이야기 내용정리>
급락뒤에 경제불황이 대부분 왔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우리나라가 경제불황이 안오는 이유
1)우리나라 수출의 선행변수들이 너무 좋다
미국의 ISM 제조업 지수(50이 넘으면 경기좋아진다고 본다 60에 가까우면 강력한 호황)
지난달59.5%
닥터이코노미 : 구리등의 비철금속 가격들이 2017년 가파르게 상승 조정받았다고 여름부터 다시 상승
2)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과 혁신력, 브랜드 가치가 선진국만큼은 아니지만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 해외수요에 근거해서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수요의 25%를 중국이 담당하고 있다
결국은 중국의 공장을 통해서 유럽이나 미국이나 일본으로 가야한다
이게 괜찮다고 판단
====> 주가가 약세이면 매수의 관점을 생각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으다
어떤 것이 싸느냐?
PBR을 참고로 해서 보는게 좋다
PBR이 1이하면 청산해도 주주에게 다 나눠줄 수 있다
2018년 10월 11일
코스피200 PBR 0.84배
참고로 금융위기(2009년) 코스피지수가 1000일때 코스피200 PBR 0.8배 정도 였음
PBR이 낮은이유
1)돈이 잘 못버니깐(적자다)
2)순자산(PBR)을 믿을수가 없음
미국다운지수는 PBR 4배에서 거래됨
미중무역분쟁때문에 수출이 얼어붇는다
먼 미래는 악재의 가능성이 높다(2018년 6월에 관세부과됨으로 시작됨)
1)중국 위엔화 환율이 2018년 6월에 급등
1달러 6.3 -> 1달러 6.9
관세부과한 만큼 환율을 올려버리면 관세부과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2)2018년 8월부터 9월사이에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옴
은행의 지급준비율 인하
개인소득세 감면
증치세(부가가치세) 감면
석탄발전(환경은 신경안쓰고...자격갱생하겠다...)
3)미국시장에서 팔리는 중국제품의 가격이 2018년 8월에 가격이 더 떨어짐
중국정부가 환율조치와 여러가지 조치를 통해서 도와줌으로써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공장의 고용율을 유지해라
지금부터 최대 12개월까지는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다만 명심해야할 것
2019년에 정보통신관련 경기가 나빠지거나해서 이익이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비롯한 정보통신관련 제품이 독보적이라서 잘 팔리는 것이 아니라 선진국쪽으로 수요가 많이 발생해서 우리의 제품이 잘 팔릴 수 있었다
정보통신산업은 무어의 법칙이 적용되는 분야
매 2년마다 집적회로의 직접도가 2배가 된다
동일직접도의 제품은 2년이 지나면 반값에 팔아도 된다
2년마다 생산성이 2배 증가되기 때문
반도체를 비슷한 정보통신산업의 제품가격은 매년 인하되는게 당연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은 30%이상이 증가했다
과점화가 되어졌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전세계를 호령한다
수요물량이 줄어들까 고민해봐야 한다
그런데 급격히 수요물량이 줄어들것 같지 않고
2년마다 생산성은 올라가니 염두해 둬야 한다
우리나라가 2018년에 영업이익으로 200조 버는데(참고로 2017년에 영업이익은 170조였음)
60~70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등의 반도체회사가 벌고
그외 조선, 자동차가 그렇게 안 좋음에도 금융(은행/증권/보험),화학,정유,전자부품 등등 130조를 버는데 사상최대다(수익성이 개선되어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저평가 받는 이유(PBR이 낮은 이유)
1)우리나라는 배당이 작다(우리나라는 평균배당수익률 1%초반이다 미국은 최소2%이상이다)
그래서 주가가 빠지면 매수를 많이한다 배당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그리고 장기투자가능
2)경제의 변동성과 외국인비중이 높다
이게 1번의 배당이 작은 것보다 훨씬 큰 이유다 ㅠㅠ
시가총액 상위의 50%이상 지분있는 것은 모두 외국인이다
외국인이 투자할때 고려하는 제일 중요한것은 환율이다
우리나라 환율을 결정하는 요인의 대부분이 해외요인이다(문제임)
그래서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외국인은 달러가 저평가일때 우리나라에 투자한다
앞으로 미국금통위(FMC회의)에서 미국금리가 상승할꺼라고 이야기 하는 중
미국국채 10년만기 금리가 2%였다가 3.3%을 넘었다
미국국채 30년만기 금리는 3.5%까지 갔다(30년간 연 3.5%이자 지급)
그래서 현재는 외국인 매도해서 미국국채를 사는중
게다가 우리나라는 신흥시장(미래의 잠재력이 있는 나라)이라서 성장주라서 금리가 인상되면 불리함
그래서 상대적으로 투자매리트 줄어드는 중
환율과 주식과 반비례관계다
외국인이 매도하면 환율이 급등 주식이 하락
외국인이 매수하면 환율이 급락 주식이 상승
->이것이 한국의 상황이다(팔자다)
2018년 10월 11일 국내 증시 폭락의 원인은?
1)미국의 금리상승->미국의 성장주주식의 폭락
2)달러가치 상승->원달러 환율이 급등->외국인의 매도세
<피트황이야기 내용정리>
피트황님은 일드갭
일드갭 = 1/PER - 3년 국채금리
시장의 저평가 기준으로 피트황님은 이용중
->수익줄어들거나 금리가 오르거나하면 일드갭이 줄어든다
->결론적으로 일드갭이 높을때 매수 / 일드갭 낮아지면 매도
2018년 10월 11일
일드갭 7.78%
현재 저평가되어있다
최근에 일드갭이 높았던 시기는 금융위기 2009년 2월 일드갭 8%
더 높았던 시기의 일드갭은 최대 10%정도다
개인투자자 투자전략은?
대형주 5% 배당주, 중소형주 7% 배당주가 많다
버티기 전략으로 괜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