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기선택의 증요성-천영록 대표의 이야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12. 28. 16:55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youtu.be/JfTdz-JRMW4

또 봐도 괜찮은 영상입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종목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11. 10. 23:24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2017.9.16

지배구조 및 융합플랫폼(엔씨, 카카오, 네이버)


스마트카(에코프로, 엘앤에프,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캠텍, 삼화콘덴서, 우리산업, mds테크, 혜성디에스, 유니퀘스트, 한라홀딩스)


스마트팩토리(SK, 에스엠코어, LS산전, 포스코ICT)


통신인프라(sk텔테콤, KT, LG유플, 대한광통신, 오이솔루션, 케이엠더블유, 이노와이어리스, 엔텔스)


의료용로봇(고영, 큐렉소)


지능정보기술(효성ITX, 유비벨록스, 아이콘트롤스, KT뮤직, 에스원)


바이오헬스(코오롱, 오스템임플란트, 비트컴퓨터)

2018년 10월 11일 증권시장 대폭락 관련 홍춘욱 피트황이야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10. 13. 22:37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www.podbbang.com/ch/7226?e=22737335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 전하는 시장 이야기

10월 11일 '검은 목요일', 10월 12일 반등.

앞으로의 시장 어떻게 전개될까? 

오늘은 특별히 초대손님으로 의 저자인 Pete 황님과 함께 했습니다. 

녹음일: 10월 12일

[홍춘욱 박사의 시장 보는 눈] 급락장에 대처하는 자세!





<홍춘욱 박사 이야기 내용정리>

급락뒤에 경제불황이 대부분 왔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우리나라가 경제불황이 안오는 이유

1)우리나라 수출의 선행변수들이 너무 좋다

미국의 ISM 제조업 지수(50이 넘으면 경기좋아진다고 본다 60에 가까우면 강력한 호황)

지난달59.5%


닥터이코노미 : 구리등의 비철금속 가격들이 2017년 가파르게 상승 조정받았다고 여름부터 다시 상승


2)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과 혁신력, 브랜드 가치가 선진국만큼은 아니지만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 해외수요에 근거해서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수요의 25%를 중국이 담당하고 있다

결국은 중국의 공장을 통해서 유럽이나 미국이나 일본으로 가야한다

이게 괜찮다고 판단


====> 주가가 약세이면 매수의 관점을 생각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으다


어떤 것이 싸느냐?

PBR을 참고로 해서 보는게 좋다

PBR이 1이하면 청산해도 주주에게 다 나눠줄 수 있다


2018년 10월 11일

코스피200 PBR 0.84배

참고로 금융위기(2009년) 코스피지수가 1000일때 코스피200 PBR 0.8배 정도 였음


PBR이 낮은이유

1)돈이 잘 못버니깐(적자다)

2)순자산(PBR)을 믿을수가 없음


미국다운지수는 PBR 4배에서 거래됨


미중무역분쟁때문에 수출이 얼어붇는다

먼 미래는 악재의 가능성이 높다(2018년 6월에 관세부과됨으로 시작됨)

1)중국 위엔화 환율이 2018년 6월에 급등

1달러 6.3 -> 1달러 6.9

관세부과한 만큼 환율을 올려버리면 관세부과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2)2018년 8월부터 9월사이에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이 나옴

은행의 지급준비율 인하

개인소득세 감면

증치세(부가가치세) 감면

석탄발전(환경은 신경안쓰고...자격갱생하겠다...)


3)미국시장에서 팔리는 중국제품의 가격이 2018년 8월에 가격이 더 떨어짐

중국정부가 환율조치와 여러가지 조치를 통해서 도와줌으로써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공장의 고용율을 유지해라


지금부터 최대 12개월까지는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다만 명심해야할 것

2019년에 정보통신관련 경기가 나빠지거나해서 이익이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비롯한 정보통신관련 제품이 독보적이라서 잘 팔리는 것이 아니라 선진국쪽으로 수요가 많이 발생해서 우리의 제품이 잘 팔릴 수 있었다


정보통신산업은 무어의 법칙이 적용되는 분야

매 2년마다 집적회로의 직접도가 2배가 된다

동일직접도의 제품은 2년이 지나면 반값에 팔아도 된다

2년마다 생산성이 2배 증가되기 때문


반도체를 비슷한 정보통신산업의 제품가격은 매년 인하되는게 당연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은 30%이상이 증가했다

과점화가 되어졌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전세계를 호령한다


수요물량이 줄어들까 고민해봐야 한다

그런데 급격히 수요물량이 줄어들것 같지 않고

2년마다 생산성은 올라가니 염두해 둬야 한다


우리나라가 2018년에 영업이익으로 200조 버는데(참고로 2017년에 영업이익은 170조였음)

60~70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등의 반도체회사가 벌고

그외 조선, 자동차가 그렇게 안 좋음에도 금융(은행/증권/보험),화학,정유,전자부품 등등 130조를 버는데 사상최대다(수익성이 개선되어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저평가 받는 이유(PBR이 낮은 이유)

1)우리나라는 배당이 작다(우리나라는 평균배당수익률 1%초반이다 미국은 최소2%이상이다)

그래서 주가가 빠지면 매수를 많이한다 배당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그리고 장기투자가능


2)경제의 변동성과 외국인비중이 높다

이게 1번의 배당이 작은 것보다 훨씬 큰 이유다 ㅠㅠ

시가총액 상위의 50%이상 지분있는 것은 모두 외국인이다


외국인이 투자할때 고려하는 제일 중요한것은 환율이다

우리나라 환율을 결정하는 요인의 대부분이 해외요인이다(문제임)

그래서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외국인은 달러가 저평가일때 우리나라에 투자한다


앞으로 미국금통위(FMC회의)에서 미국금리가 상승할꺼라고 이야기 하는 중 

미국국채 10년만기 금리가 2%였다가 3.3%을 넘었다

미국국채 30년만기 금리는 3.5%까지 갔다(30년간 연 3.5%이자 지급)

그래서 현재는 외국인 매도해서 미국국채를 사는중

게다가 우리나라는 신흥시장(미래의 잠재력이 있는 나라)이라서 성장주라서 금리가 인상되면 불리함

그래서 상대적으로 투자매리트 줄어드는 중


환율과 주식과 반비례관계다

외국인이 매도하면 환율이 급등 주식이 하락

외국인이 매수하면 환율이 급락 주식이 상승

->이것이 한국의 상황이다(팔자다)


2018년 10월 11일 국내 증시 폭락의 원인은?

1)미국의 금리상승->미국의 성장주주식의 폭락

2)달러가치 상승->원달러 환율이 급등->외국인의 매도세





<피트황이야기 내용정리>

피트황님은 일드갭

일드갭 = 1/PER - 3년 국채금리

시장의 저평가 기준으로 피트황님은 이용중

->수익줄어들거나 금리가 오르거나하면 일드갭이 줄어든다

->결론적으로 일드갭이 높을때 매수 / 일드갭 낮아지면 매도


2018년 10월 11일

일드갭 7.78%

현재 저평가되어있다


최근에 일드갭이 높았던 시기는 금융위기 2009년 2월 일드갭 8%

더 높았던 시기의 일드갭은 최대 10%정도다


개인투자자 투자전략은?

대형주 5% 배당주, 중소형주 7% 배당주가 많다

버티기 전략으로 괜찮다

주식 관련 대주주 요건 변경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10. 2. 20:57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14071




현행

코스피: 1% 지분율 또는 25억원 이상

코스닥: 2% 지분율 또는 20억원 이상


2018년 4월 1일이후

코스피: 1% 지분율 또는 15억원 이상

코스닥: 2% 지분율 또는 15억원 이상



2020년 4월 1일이후

코스피: 1% 지분율 또는 10억원 이상

코스닥: 2% 지분율 또는 10억원 이상



2021년 4월 1일이후

코스피: 1% 지분율 또는 3억원 이상

코스닥: 2% 지분율 또는 3억원 이상




10억까지는 그렇다고 보는데

3억원은 좀 너무 아니지 않은가?


2021년부터 

3억원이면 서울 빌라보다 저렴한데 그게 대주주라....

3억원이상부터는 양도소득세를 내야하는구낭...




65세 통신비 월 1만원 감면 통과…이통사의 '잔인한 4월'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4. 14. 01:44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41318241444227



통신요금 원가공개에 이어 연이틀 치명타 

보편요금제도 이달 심사…통신비 인하 압박

--> 통신에 모두 악영향

--> 정책방향도 통신사에 불리하니

--> 당분간 통신사를 가지고 있다면 매도 후 관망

수소차 및 관련 종목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3. 14. 11:25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수소차
-수소탱크에서 수소, 컴프레셔(공기공급기)에서 전달받은 산소를 연료전지로 보내 전기 생산, 모터를 돌려 달리는 자동차를 말함(이산화탄소 등의 공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음)

-충전시간이 짧고 한번 충전으로 400km이상을 갈 수 있는 등 고효율성을 지녔으나 생산비용이 많이들며, 수소충전소 건설에도 많은 비용이 들어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은 단점

-최근에는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유럽 각국의 내연기관 자동차 퇴출 선언과 중국의 내연기관차의 판매 중단 검토 등의 친환경차에 대한 정책으로 전기차를 비롯한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일본 정부가 수소차 생산업체애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중국 업체들도 광저우에 연 5천대 규모의 수소버스용 수소전지 스택공장 가동, 2020년부터는 수소전기차 생산을 본격화 한다는 계획을 수립중, 국내에서는 현대차가 수소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수소차 관련주
한온시스템(OEM납품을 주로 하는 자동차 열 관리 시스템 단일품목 제조 205년 전기자동차용 heat pump system으로 장영실상 수상): E-compressor를 포함한  공조시스템, 히트펌프 시스템, centrigual air compressor 납품

유니크(자동차용 시계류, 시가라이트류, 유압솔레노이드밸브, 밸브류, 센서류, 인디케이터류): 수소차의 핵심부품인 수소제어모듈 공급

코오롱머티리얼(화학섬유의 제조, 판매 및 염색 가공):수소차의 핵심부품인 연료전지 분리막 원천기술 확보, 수소차 가격절감의 핵심기술

시노펙스(나노기술 소재 부품전문기업으로 FPCB사업 및 멤브레인 필터 사업. 멜브레인 필터 사업으로는 액체 및 기체를 여과하는 멤브레인 소재, 필터와 더불어 멤브레인을 기반으로 각종 액체 및 기체를 여과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제조, 판매):분리막 국산화에 필요한 불소계 분리막 분야 최고 기술력 보유

누리플랜(경관조명, 경관시설제품을 생산, 판매,설치하는 도시경관전문회사이며 주요 생산 제품은 방음벽, 차량방호울타리, LED조명등가구, 난간휄스, 보도육교 등):수소, 태양광 축전 원천기술 VRFB(바나듐레독스흐름전지) 기술 원천보유

동아화성(차세대핵심기술인 연료전지사업 중 고무가스켓 제조기술의 특허권 소유):연료전지 가스켓이라는 부품에 특화, 연료전지 스택의 핵심소재부품

현대모비스(샤시모듈, 칵핏모듈, 프론트엔드모듈 등을 생산하여 계열사에 공급하는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과 국내외에서 운행중인 모든 현대차 및 기아차에 소요되는 보수용 부품을 공급하는 A/S 부품사업):수소차 원가의 25-30%를 차지하는 스택 및 시스템 생산

일진다이아(공업용 합성다이아몬드와 그 연관제품을 제조, 판매, 세계시장 점유율 약 10%수준):자회사 일진복합소재가 압축수소탱크 생산. 원가의 20%차지.
현대 수소차 FCEV에 장착되는 압축수소연료탱크 공급

효성(화학섬유 및 수지, 전력설비, 산업재 등):수소충전소 건설 사업 등 충전인프라 시장 공략(서울에 700바급 수소 충전소 공급, 울산 수소충전소 3곳 진행중)

뉴로스(터보기기 및 터보엔진 제품 개발, 제조 및 판매 등 종속회사인 TMC는 동사가 제조한 제품의 중국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쿤산공장 설립 후 A/S시행 및 압축기 사업을 신규로 진행중




삼성전자 관련 액면분할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3. 14. 00:40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paxnet.moneta.co.kr/pro/stockResearchView?schMessageId=21682038


액면이 5000원에서 100원으로 분할된다

재상장일: 5월 16일

거래중지기간 :4월25일~5월 14일


액면분할을 받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구주권제출기간이 4월 26일 이므로 여유있게 4월 23일까지는 매수해두어야 한다


현재가      액분후

256만원-> 51200원


착시효과로 재상장 후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자기주식취득 및 고배당, 무상증자 가능성 있을수도



유비케어 유상증자를 카카오인베스트먼트에 하다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3. 8. 21:54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유비케어

유비케어(032620)는 박승원씨와 카카오인베스트먼트를 대상으로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329억9999만6070원,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조달을 위해 150억원 등 총 479억9999만6070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3월 8일 공시했다.

-> 결국 카카오가 유비케어 인수하는 모양세




18년 2월 27일 기준 와이즈리포트 추천종목중 유망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3. 1. 00:38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한국투자 중장기 유망종목

이마트(18/02/07 추천)

-Affinity Equity Partners 및 BRV Capital Management와의 투자 양해각서(MOU) 체결로 온라인 사업부문 역량 강화 전망

-대규모 신규투자를 통해 기존의 협상력과 물류망의 경쟁우위가 확고해짐에 따라 신규 상품의 개발여력 확대 예상

-외형성장과 함께 손익 개선에 따른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는 구간으로 리레이팅 본격화 가능성 상존


이엠텍(17/07/21 추천)

-국내 유일의 BA(Balanced Amature)스피커 생산 업체로 스피커 활용기술 발전에 따른 수혜 전망 

-지난해 베트남 공장 증설과 자동화 설비 확대를 통한 생산성 확대와 인건비 절감 예상  

-갤럭시노트8과 V30 출시로 하반기 마이크로스피커와 리시버 관련 매출 증가 전망



크린앤사이언스(17/11/14 추천)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 변화와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공기청정기 수요의 구조적 증가 전망

-국내 공기청정기 제조사들의 중국 진출에 따른 수혜 전망

-10월 공기청정기 수요 증가와 신규 고객 유입 대응을 위한 MB(부직포) 증설로 레버리지 효과 기대



하나금융투자 스몰캡 주간포트

에스피지(18/01/19 추천)

-반도체 장비업체들의 수주 증가와 공기청정기 판매량 호조로 실적 개선 기대



하나금융투자 중장기 투자유망종목

JTP Ent(18/01/02 추천)

-2018년 남자 아이돌 3팀 데뷔로 이익 상향 변수가 크게 존재



롯데케미칼(18/01/29 추천)

-폴리카보네이트 가격 상승세, 자회사 롯데첨단소재의 실적 개선


SK하이닉스(18/01/02 추천)

-안정적 DRAM 업황으로 실적 호조, NAND의 실적 기여 기대감


S-Oil(18/02/05 추천)

-18년 영업이익 80% 증익, 배당수익률 7% 감안, 정유업종 Top pick 유지


휠라코리아(18/02/26 추천)

-중국내 FIFA 고성장에 따른 실적 기여 증가 예상



하나금융투자 단기유망종목 

이녹스첨단소재(18/02/26 추천)

-대형 OLED소재 매출 증가 및 중소형 OLED 신제품 연내 공급 가시화

-제품 믹스 개선에 따른 전사 영업이익률 개선 효과 커질 전망



교보증권 추천 종목

선데이토즈(18/02/20 추천)

-글로벌 히트 IP 활용한 ‘위베어베어스 더 퍼즐’국내 순항 중

-2분기말 북미를 시작으로 글로벌 런칭 예정



유안타증권 중소형주 

선데이토즈(18/02/08 추천)

-1월9일 출시한 신작퍼즐게임 '위베어베어스'의 다운로드 및 사용자 수가 증가 중이며, ARPPU 도 기존 대표게임 '애니팡'대비 높아 매출 증가 가능성 높을 전망 

-2분기 '위베어베어스' 북미/유럽 출시 예정. 글로벌 IP 기반 게임이며, 해당 지역에서 높은 매출 순위를 기록 중인 '꿈의 집', '꿈의 정원'과 유사한 형태의 게임이란 점에서 흥행 가능성이 높을 전망



신대양제지(17/02/21 추천)

-골판지 원지와 상자 제조, 대양그룹의 실질적 지주사 역할 

-고지가격 하락 영향으로 마진개선 전망 및 골판지 가격 현실화 진행시 이익 확대 가능성도 존재




테크윙(18/01/30 추천)

-주력 제품인 Handler 의 신규 수요처 확대

-후공정 및 테스트 관련 장비의 중요성 증가

-SSD 확산 및 중화권 반도체 업체들의 Capex 증가에 따른 수혜 예상



KB증권 절대수익형 추천종목

만도(18/02/19 추천)

-ADAS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 인정받은 기술력과 다변화된 매출처

-시장의 눈높이가 낮아지는 과정에서 낙폭과대, valuation 매력 발생




KB증권 중소형주 추천종목

유니테스트(18/01/18 추천)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 제조업체로 DRAM 및 NAND용 고속번인장비, SSD 테스터 등이 주요 제품군임 

-주요 고객사의 DRAM 미세화 전환 및 신규 팹 증설, NAND 시장으로의 확대 가능성으로 성장 유효



NH투자 국내주식 추천종목

엘오티베큠(18/01/22 추천)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 설비투자 확대에 따른 실적 모멘텀 확보는 물론 SK하이닉스 및 디스플레이향 매출 증가도 긍정적

-EUV(Extreme Ultraviolet) 양산 도입에 따른 반도체 미세공정 진행으로 진공펌프 수요 증가 



SK하이닉스(18/01/02 추천)

-제한적인 DRAM 공급과 NAND의 빠른 수요 성장으로 인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반도체 업황 호조 예상

-올해 예상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6.2조원(+20.6%,y-y)와 16.4조원(+20.8%,y-y)로 실적성장세 지속될 전망




애플과 SK이노베이션, 배터리 필수소재 코발트 직구 추진하는 진짜 이유

Posted by HULIA(휴리아)
2018. 2. 28. 00:14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2322


코발트는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맥북 등 애플이 생산하는 전자기기에 동력력을 제공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필수 소재다


애플이 전 세계에 판매한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의 전자 기기는 13억대에 이른다는 점에서 코발트의 최대 소비자지만 현재까지는 배터리 업체에 코발트 구매를 맡겨두고 있었다 

그런데 전기차 생산이 늘고 코발트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모든 게 달라졌다 

공급부족이 생기면 애플 비즈니스에 중대한 위험이 될 수 있다고 판단을 내렸다


코발트의 글로벌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스마트폰의 수요는 4분의 1 정도다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정제 코발트는 8g 정도지만 전기차 배터리는 이보다 1000배가 많은 양이 필요하다 


코발트는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3분의 2를 생산한다

코발트 원광은 중간상을 거쳐 중간가공업체로 넘겨진다

가공업체들은 중국업체, 중국과 호주 합작업체, 글렌코어 등이 대부분이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 가공하는 코발트는 코발트를 20~40% 함유한다

완제품은 생산하지 못한다.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생산된 코발트의 80%는 탄자니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항고를 통해 중국으로 수출된다

중국 업체 10여곳이 이를 정광으로 만든다

다튼 커모디티스에 따르면, 중국의 코발트 생산량은 지난해 6만2000t으로 전세계 생산량의 60%를 차지했다


SK이노베이션은 21일 호주의 광산업체인 오스트레일리언 마인즈와 7년 동안 코발트, 니켈을 공급받기로 계약했다고 발표했다

SK이노베이션은 시가로 50억호주달러(미화 39억달러)어치의 코발트를 헝가리 공장에서 제조하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로 사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