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전기차의 수혜주 정리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21. 23:47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22348121



내연기관을 이용한 자동차 시대가 저물고

수소연료전기차(FCEV), 전기차 등 각종 친환경차 산업이 성장



수소차관련주

-수소연료 완성차 제조사

-관련 부품사

-충전소 사업체



완성차 업체

-현대차


부품주

-한온시스템, 일진다이아


수소차 충전소

-효성중공업, 이엠코리아, 제이엔케이히터



전기차

-대부분 2차전지관련 


2차전지관련

-LG화학

-삼성SDI


2차전지 소재주

-포스코켐텍

-에코프로

-일진머티리얼즈



자율주행주

-현대모비스, 만도


2019년 반도체 흐름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19. 23:45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5&aid=0002878189



1)

2019년도 2018년보다는 상황이 좋지 않지만 그래도 돼지고기정도는 먹을 수 있다는 분위기

2017년 2018년 최대 호황 2019년 다시 정상수준으로 돌아가는 과정



2)

3D 낸드플래시 양산으로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의 대대적인 서버 증설작업 때문에 반도체 시장의 초호황이 시작

이들은 서버를 HDD에서 SSD로 교체했는데 이때 삼성이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었다는 것



3)

지난 4분기부터 반도체 시장 흐름이 바뀐 것은 사실

글로벌 IT기업들의 신규 서버 구축이 거의 완료

미중 무역 전쟁이나 세계 경기 둔화 움직임에 투자가 위축

반도체를 많이 쓰는 스마트폰 총판매량도 줄었다



그러나 반도체 시장 바닥을 점치기에는 이르다

-전 시계인의 콘텐츠 이용량은 늘고 있다

-한국, 미국, 일본에서 5G 통신 시대가 개막

-개개인의 영상 콘텐츠 이용 시대가 본격화된다는 걸 의미

-지난해 8% 불과했던 인공지능 서버시장은 2025년까지 50%이상 급성장할 전망

-자율주행차도 빠르게 진행 중


기관들 배당ETF와 바이오주 쓸어담았다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17. 23:53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98952

http://vip.mk.co.kr/newSt/news/news_view.php?sCode=21&t_uid=20&c_uid=1656947



2018년 12월 23일자


===유가증권시장

KODEX MSCI Korea TR(Total Return)(배당ETF)

TIGER MSCI Korea TR(Total Return)(배당ETF)

KODEX 200

TIGER 200

현대차

현대모비스

아모레퍼시픽

삼성물산

신한지주

KT&G



===코스닥시장

신라젠(바이오)

에스티큐브(IT/바이오)

바이로메드(바이오)

대아티아이(전기장비제조)

에이치엘비(바이오)

컴투스(게임)

메지온(바이오)

와이지엔터테인먼트(엔터)

휴젤(바이오)

파멥신(바이오)



TR(Total Return) ETF가 추종하는 TR 인덱스는 구성 종목의 가격변동과 배당 수익을 반영한 지수로, 배당을 분배하지 않고 재투자한 총성과를 나타낸다

TR ETF는 4월에 들어오는 배당을 나눠주지 않고 배당소득세없이 그대로 투자하기 때문에 장기로 투자할때 배당소득세를 절약해 얻는 복리효과가 크다

그동안 코스피 200을 추종한 ETF에 주로 투자하던 기관들도 배당투자 매력에 TR ETF 매수를 늘리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트론바이오, 대한약품 지분 늘림

자산배분투자 10계명 공유받음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17. 23:53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m.blog.naver.com/mynameisdj/221421379982


1. 장기적으로 실현가능한 계획을 짜라

5%에서 10%정도의 연평균 수익률


2. 일찍 투자하고 자주 투자하라

복리효과를 누려라


3.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리스크를 감당하지 말라

주식은 위험자산, 채권은 안전자산

두가지를 섞으면 자연스럽게 자산배분투자를 시작


젊을때는 좀 더 공격적인 투자, 나이가 들었을때는 보수적으로 투자가 좋다


4. 분산하라

다양하게 분산된 자산군을 사는게 좋습니다

전세계에 투자해라


5. 시장을 예측하려고 하지 말라


6. 인덱스 펀드를 사자

어떤 기업을 사야할지 모르니까 인덱스 펀드를 산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으다

안좋은 주식들은 자연히 인덱스에서 제외되고 혁신을 만드는 기업들이 자연스럽게 들어옴


7. 비용은 최소한으로 하자

비용을 1%절약하면 같은 돈으로 저축해도 무려 10년을 더 사용할 수 있습니다


8. 세금을 최소화하라

ETF나 각종펀드에 붙는 15.4%의 배당소득세 원천징수가 너무 가혹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음

그래서 자산배분의 경우 해외투자를 적극적으로 하는 편

미국 ETF를 사는 경우에는 22% 양도소득세가 있긴 하지만, 손실상계가 되어서 의외로 원천징수되는 15.4% 배당소득세보다 세금을 적게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군다나 양도소득세라 종합소득세에 추가로 과세되지 않음

이미 종합금융과세를 낸다면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9. 단순하게 투자하라

의미있게 분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펀드를 사모을 필요는 없습니다

Vanguard의 창업자는 일반인들에게 2개의 펀드면 충분하다고 말합니다

Vanguard Total Stock Market Index Fund와 Total Bond Market Index Fund입니다


심플한 포트폴리오는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비용이 아주 저렴하며, 분석하기 쉽고, 리밸런싱하기도 쉽습니다

투자 상황의 현황을 파악하기도 좋음



10. 존버하라


실리콘웍스 분석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15. 23:53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m.blog.naver.com/kmsmir04/221426367073



2017년까지의 실리콘웍스의 상황 정리

PER 11.56배

PBR 1.32

배당수익률 :2.09%

배당액은 15년 1000원에서 지속하락해서 2017년 주당700원 배당



실리콘웍스는 

Fabless 회사 입니다


Fabless란 제조시설없이 IC chip을 설계만 하고 제조 생산은 Foundry 업체에 외주를 주는 방식으로 사업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즉, 거대한 유형자산인 반도체 생산라인이 필요가 없습니다

칩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과 컴퓨터 그리고 EDA Tool정도입니다.

일부 타사의 기술을 사용할 경우, 개런티를 지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인력과 EDA License 비용이 매출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을텐데 이는 전형적이 고정비

따라서 판관비가 일정하다면 매출이 늘어남에 따라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이익은 더 큰폭으로 좋아집니다.


LGD의 OLED 패널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Apple에도 OLED 중소형 패널을 공급하기로 한 만큼 실적이 꺽이지는 않을 것



실리콘웍스의 주요 판매 제품은 Display Driver IC로 DDI입니다

DDI는 디스플레이 픽셀을 컨트롤하는 칩으로 AP에서 나오는 신호를 받아 픽셀을 컨트롤함으로써 화면에 이미지를 띄우는 역할을 합니다


키포인트는 하나의 DDI칩이 컨트롤할 수 있는 픽셀수는 한정되어 이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DDI 칩의 개수도 같이 많아져야 합니다


게다가 TV는 4K해상도를 넘어서 8K로 나가고 있습니다

최근 TV 트렌드는 대형화와 고해상도입니다

중요한 것은 TV화질에서 해상도는 아직도 중요한 경쟁력 요소중 하나이고 TV가 커질수록 중요해지며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이 높습니다.

따라서 DDI 수요도 같이 증가예상


문제는 LGD의 OLED패널이 얼마나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가입니다

중소형 OLED 시장을 점령한 삼성D도 대형쪽에 군침을 흘리고 있고 LCD시장을 휩쓸어버린 중국이 OLED투자에도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

여기서 중요한 점은 LGD의 이익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많이 팔리느냐입니다

LCD의 경우에는 패널 가격하락으로 LGD 입장에서는 팔때마다 손해를 보지만 실리콘웍스의 경우 LGD가 대금만 문제없이 지급해준다면 많이 팔수록 이익입니다





국보디자인 분석 실제 전자공시에서 조사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13. 23:56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m.blog.naver.com/shimseok12/221423054197



http://insight.stockplus.com/articles/39



“내부자가 자기 돈으로 매수하는 것은 고급 내부정보이고, CEO 혼자서 사는 것보다 대주주 친인척 여럿이 사는 것이 더 믿을 만하다."

서적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에 기재된 피터린치의 어록이다. 피터린치는 완벽한 주식의 조건 중 하나로 내부자가 꾸준히 사들이는 종목을 꼽았다. 


국보디자인은 최대주주 아들이 매수



국보디자인은 1983년 설립된 실내 인테리어 전문 업체

200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



민간 공사의 경우

인테리어 업체는 건설사로부터 일감을 따낸다.

건설사는 자체적으로 적격심사를 거쳐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이 인테리어 업체의 도급순위입니다


아래는 국보디자인 사업보고서에서 발췌한 도급순위입니다

2012년부터는 1위네요~





설립이후 30여년이 넘게 흑자행진을 이어왔으며, 무차입 경영을 지속

대표적인 경기민감 업종에 속해 있으면서도 실적과 재무상태는 스노우볼 기업을 방불케 한다



사업보고서의 재무상태표 발췌


근데 어디가 무차입 경영이라는건

특히나 2015년도에는 단기차입금도 있는데 단기차입금은 차입이 아닌가?




공사수익 > 대금청구액이면, 그 차액만큼 미청구공사가, 

공사수익 < 대금청구액인 경우엔 초과청구공사가 발생한다

미청구공사는 실제 계약조건에 따라 받기로 한 돈보다 매출이 더 발생한 것을 의미

초과청구공사는 실제 계약조건에 받기로 한 돈보다 매출이 덜 발생한 것을 뜻한다


초과청구공사가 많다는 것은 2가지 의미

1)공사가 이러저러한 이유로 지연되는 케이스

이 경우 진행률이 낮아져 초과청구공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면 예정했던 것보다 원가가 추가로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즉, 총예정원가보다 실제 원가가 더 많이 들어 공사손실충당금이 발생해 어닝쇼크를 맞을 수 있다

때문에 초과청구공사가 많은 기업은 공사손실충당금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2)총 예정원가를 보수적으로 많이 잡는 경우다. 

이 경우에도 진행률은 낮아지며, 매출보다 대금청구액이 더 커 초과청구공사가 발생한다

이런 기업은 향후 실제 투입된 원가가 총예정원가보다 적게 들 수 있다. 이 경우 이익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을 뿐더러 진행율이 높아져 그간 지연됐던 매출이 빠르게 잡힐 수 있다


국보디자인은 후자에 가까워보임



아래는 국보디자인 사업보고서에 있는 공사손실충당부채(재무제표 주석에서 발췌)

2017년 2,782,219천원

2016년 3,662,522천원

2015년 6,093,964천원

2014년 1,775,291천원



무형자산 회계처리 논란-사례 바이오 제약업체관련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9. 23:55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717762&memberNo=28983946



무형자산 중요성은 점점 커짐

그러나 재무재표 인식 쉽지 않아



무형자산은

물리적 형체가 없지만 

식별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는

비화폐성 자산을 의미한다


개발비, 프랜차이즈, 산업재사권, 저작권 등이 이에 해당한다



최근 제약 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무형자산 인식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연구개발비는

1)비용으로 처리가능

2)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방법도가능

그래서 모호하다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할 경우는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감소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경우는

영업이익과 순이익에 영향이 없다


그래서 많은 국내 제약 바이오 업체들은 연구개발비 무형자산 인식 비중이 높아졌다


2017년 기준 주요 바이오 제약업체의 연구개발비 무형자산 인식 비중

1)코미팜 98.8%

2)바이로메드 87.6%

3)셀트리온 74.4%

4)셀트리온제약 49.5%

5)메디톡스 33%

6)차바이오텍 28.1%

7)녹십자 15.4%

8)파미셀 11.7%

9)한미약품 5.9%

10)한올바이오파마 4.7%

11)영진약품 2.5%

12)대웅제약 0.4%

13)유한양행 0%

14)부광약품 0%

15)종근당 0%


제약 바이오 시가총액 상위 20개 기업 중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업들은 약 28.1%를 무형자산으로 인식


해외사례

-유럽의 경우 한국 비슷하게 연구단계에서는 비용으로 처리 개발단계부터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캐나다 또한 일정요건을 부합할 경우 개발비의 자산화가 가능

-미국의 경우에는 비용화를 원칙

-일본도 연구와 개발을 구분하기는 하지만 연구개발비는 비용화를 원칙



무차입금에 ROE 높은 기업 정리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9. 23:22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61052


2018년 11월 30일 1.5%->1.75% 금리인상



장단기 차입금을 많이 보유한 기업들에 금리 인상은 이자비용 증가로 이어져 부담이 되기 때문


반대로 갚아야 할 빚은 적고 보유한 순현금이 많은 기업일수록 금리가 높아도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무차입금 + ROE 높은 기업

1)한온시스템(코스피)

순현금 5726억원

ROE(2018년기준) 13.9%


2)스튜디오드래곤(코스닥)

순현금 1633억원

ROE(2018년기준) 12.06%


3)펄어비스(코스닥)

순현금 3227억원

ROE(2018년기준) 49.56%


4)컴투스(코스닥)

순현금 7112억원

ROE(2018년기준) 16.46%


5)한전KPS(코스피)

순현금 2136억원

ROE(2018년기준) 14.29%


6)GS홈쇼핑(코스닥)

순현금 6905억원

ROE(2018년기준) 12.66%


7)JYP 엔터(코스닥)

순현금 444억원

ROE(2018년기준) 24.09%


8)고영(코스닥)

순현금 1051억원

ROE(2018년기준) 24.01%


9)아프리카TV(코스닥)

순현금 465억원

ROE(2018년기준) 28.7%


10)셀바이오텍(코스닥)

순현금 671억원 

ROE(2018년기준) 19.35%


11)유진테크(코스닥)

순현금 982억원

ROE(2018년기준) 14.16%


12)인크로스(코스닥)

순현금 393억원

ROE(2018년기준) 15.06%


순현금 = 현금성 자산 + 단기매도금융 - 장단기차입금


ROE는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 이익을 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ROE가 12%이상이면 자본 효율성이 우수한 우량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순현금보다는 ROE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회사성장을 위해 연구개발에 사용하거나 기업 인수합병 인력채용 등 회사 성장을 위해서 사용하는게 중요하기 때문



중국 게임 판호 재개 그러나 국내 게임사 수혜는 없음?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7. 00:36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www.etnews.com/20190101000046



국내 게임사가 혜택을 받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이번 판호에 한국산 게임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외자판호는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중국 내 외국기업 권리와 IP(지식재산권)를 보호하고 중국 진출을 장려하는 '전방위 대외개방'을 언급한 바 있어 외자판호 발급 재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19년부터 달라지는 것들

Posted by HULIA(휴리아)
2019. 1. 6. 23:54 국내투자/투자아이디어

https://www.yna.co.kr/view/AKR20181224133800002?input=1215m


https://news.v.daum.net/v/20181226100304520?d=y



간이과세자 3천만원까지 납부면제 = 영세 자영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간이과세자 납부면제 기준 금액이 현행 2천400만원 이하에서 내년부터 3천만원 이하로 상향 조정된다.



주택 임대소득 연 2천만원 이하라도 사업자 등록해야 = 현재는 주택임대소득이 연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만 사업자등록 의무가 있었으나 내년부터는 모든 주택임대사업자가 사업자등록을 해야 한다. 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으면 미등록·지연등록 가산세가 부과된다.



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 과세 = 그동안 과세 대상이 아니었던 연간 2천만원 이하의 주택임대소득도 내년부터 과세된다. 납세자가 분리과세를 선택해 신고하거나 2020년 5월에 다른 소득과 합산해 신고해야 한다.


수소 버스 부가가치세 면제 = 친환경 수소 버스의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시내버스용으로 공급되는 친환경 버스에 부가가치세가 면제된다.